# 서울시 싱크홀 고위험 지역 50곳, 어디인지 알아보고 재난을 예방하자!!!

2025. 4. 10. 04:10부동산 뉴스

SMALL


안녕하세요, 여러분! 오늘은 최근 이슈가 되고 있는 서울시 싱크홀(지반 침하) 고위험 지역에 대해 알아보려고 합니다. 서울에 살고 계신 분들이라면 한 번쯤 '우리 동네는 안전할까?' 하는 생각을 해보셨을 텐데요, 함께 살펴봅시다.

## 서울시 싱크홀 고위험 지역 현황

서울시는 지난해 각 자치구에 의뢰하여 지반 침하 우려가 큰 고위험 지역 50곳을 파악했다고 합니다. 이 정보는 국토교통부에 보고되었지만, 서울시는 시민들의 불안감을 이유로 전체 목록을 공개하지 않고 있어요. 😥

MBC 보도에 따르면, 이 50곳의 고위험 지역은 다음과 같이 분포되어 있습니다:

- 광진구: 22곳 (가장 많음!)
- 종로구: 9곳
- 금천구: 7곳
- 성동구: 3곳
- 구로구: 3곳
- 강남구: 2곳
- 노원구: 2곳
- 마포구: 2곳

이들 고위험 지역의 전체 길이는 무려 45km에 달한다고 하니 정말 놀랍네요!

## 어떤 지역이 위험한가요?

MBC가 공개한 자료를 통해 일부 고위험 지역의 상세 주소를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혹시 여러분의 집이나 직장 근처가 있는지 확인해보세요!

### 강남구 (2곳)
- **언주로** (압구정동 477 ~ 개포동 1282-5): 6,700m 구간
  *특징: 지반침하사고 발생 빈도가 높은 곳*
- **선릉로** (구룡마을입구교차로 ~ 압구정동 507): 6,320m 구간
  *특징: 역시 지반침하사고가 자주 발생*

### 구로구 (3곳)
- 고척동 76-368 일대: 80m 구간
- 구로동 712-8 일대: 30m 구간
- 고척동 76-74 ~ 77-5: 290m 구간
  *특징: 노후 하수관로가 매설되어 있음*

### 금천구 (일부, 총 7곳)
- 가산동 327-18 ~ 569-21: 250m 구간
  *특징: 침수취약구간*
- 시흥동 911 ~ 930-56: 520m 구간
  *특징: 지반침하 발생 이력이 있음*

### 노원구 (2곳)
- 광운로2나길: 335m 구간
- 한글비석로20길, 덕릉로83길: 575m 구간
  *특징: 두 곳 모두 잦은 지반침하 발생*

### 마포구 (2곳)
- 고산16길 (대흥동 20-24 ~ 22-45): 125m 구간
  *특징: 지반침하 다발 구역*
- 연남로1길 (연남동 564-37 ~ 567-34): 400m 구간
  *특징: 장기사용 상수도관이 있음*

## 왜 땅이 꺼지는 걸까요?

땅 꺼짐 현상은 주로 다음과 같은 이유로 발생합니다:
- 노후된 상하수도관 누수
- 지하 공사 중 지하수 유출로 인한 주변 토사 유실
- 지하 빈 공간 발생

특히 한강 매립지 같은 저지대는 충적층과 지하수가 발달해 지반이 약하고, 지하 공사 시 관리가 부실하면 싱크홀 발생 위험이 높다고 해요.

## 알아두면 좋은 사실들

- 서울의 땅 꺼짐 신고 건수는 2022년 67건에서 2024년 251건으로 2년 만에 약 4배나 증가했습니다! 😱
- 고위험 지역 목록을 제출한 자치구는 8곳뿐이며, 최근 땅 꺼짐 사망 사고가 발생한 강동구는 이 목록에 포함되지 않았어요.
- 서울시는 이 50곳에 대해 2025년 4월 말까지 조사를 완료할 예정이라고 합니다.

## 마치며

서울시가 공식적으로 전체 목록을 공개하지 않아 아쉽지만, 알려진 정보만으로도 우리 동네의 안전을 점검하는 데 도움이 되길 바랍니다. 혹시 주변에서 도로가 갑자기 내려앉거나 균열이 생기는 등의 이상 징후를 발견하시면 즉시 관할 구청이나 119에 신고해주세요!

여러분의 안전한 서울 생활을 응원합니다! 다음 포스팅에서 또 만나요~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