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 4. 28. 19:54ㆍ부동산 뉴스
안녕하세요, 부동산에 관심 많은 여러분!
오늘은 2025년 4월 28일 기준으로, 최근 부동산 시장에서 가장 주목받는 소식들을 한 번에 정리해드리려고 합니다.
서울 아파트 거래량부터 전세시장, 지방 청약 열풍, 정책 변화, 그리고 앞으로의 전망까지!
지금부터 하나씩 살펴보시죠.
---
## 서울 아파트 거래량, 4년 만에 최대치! 시장 반등 신호?
올해 1분기 서울 아파트 거래량이 무려 2만 건에 육박했다고 해요.
이 수치는 2021년 이후 4년 만에 최고치라고 하니, 그만큼 시장에 변화의 바람이 불고 있다는 뜻이겠죠?
특히 강남 3구(서초, 강남, 송파)를 중심으로 신고가 거래가 연이어 나오고 있습니다.
실제로 2월에는 서울 아파트 평균 거래금액이 14억 6,000만 원을 넘어서며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어요.
대표적으로 서초구 반포동 ‘래미안 원베일리’ 84㎡가 70억 원에 거래되면서 3.3㎡당 2억 원을 돌파하기도 했습니다.
이런 거래량 증가는 강남 3구의 토지거래허가구역 해제(2월 12일~3월 23일)와 금리 인하 기대감이 겹친 결과로 분석돼요.
하지만 3월 24일부터 다시 토지거래허가구역으로 지정되면서 4월 들어서는 거래가 다소 주춤한 모습입니다.
---
## 전세시장, 매물 줄고 전셋값은 ‘꿈틀’
서울 아파트 전세 매물은 1년 새 3,000건 이상 줄었다고 합니다.
입주 물량이 줄고, 월세 전환이 늘면서 전세 매물이 점점 귀해지고 있어요.
여기에 전셋값이 오르자 기존 세입자들이 갱신 계약을 선택하는 경우도 많아졌죠.
4월 셋째 주 기준 서울 아파트 전세수급지수는 99.9로, 수요가 공급을 거의 따라잡은 상황입니다.
특히 인기 대단지 전세 매물은 나오자마자 빠르게 소진되고 있어, 전세를 구하려는 실수요자들의 고민이 깊어지고 있습니다.
---
## 지방 부동산, 침체 속 ‘줍줍’ 청약 대란…세종시 집값 급등
수도권과 달리 지방 부동산 시장은 여전히 침체 분위기가 이어지고 있어요.
하지만 세종시에서는 최근 무순위 청약(‘줍줍’)에 11만 명이 몰리며 청약 대란이 벌어졌습니다.
세종 산울마을 5단지 ‘세종파밀리에더파크’ 4채 무순위 청약에 10만 8,000명이 넘게 신청했는데,
분양가가 주변 시세보다 1억 6,500만 원가량 저렴해 ‘시세 차익’을 노린 수요가 폭발한 것이죠.
또 대통령실 세종 이전 공약에 대한 기대감도 한몫했다고 해요.
---
## 수도권-지방, 그리고 서울 내에서도 양극화 심화
2025년에도 부동산 시장의 ‘양극화’ 현상은 더욱 뚜렷해지고 있습니다.
수도권은 가격 상승세가 이어지는 반면, 지방은 가격이 정체되거나 오히려 하락세를 보이고 있어요.
서울 내에서도 강남 3구와 용산 등 인기 지역은 공시가격이 10% 넘게 뛰었지만,
도봉·강북 등 비강남권은 1%대에 그쳤습니다.
전국 평균 공시가격은 3.65% 상승했지만, 세종(-3.28%), 대구(-2.90%) 등은 오히려 떨어졌죠.
---
## 분양시장, 수도권 중심으로 활기…5월 전국 1만7천 가구 공급
분양시장도 분위기가 심상치 않습니다.
5월에는 전국적으로 1만 7,000가구가 신규 공급될 예정인데,
이 중 수도권이 1만 1,700가구로 전체의 68%를 차지합니다.
서울 강동구 ‘고덕 강일 대성베르힐’, 구로구 ‘고척 푸르지오힐스테이트’, 은평구 ‘힐스테이트 메디알레’ 등
대단지 분양이 예고되어 실수요자들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습니다.
4월 분양 실적률도 89%로, 정치적 불확실성에도 불구하고 기대 이상의 성적을 거두고 있어요.
---
## 정책·금융 환경 변화, 시장에 미치는 영향은?
주택담보대출 변동금리 기준인 코픽스(COFIX)는 2월 신규취급액 기준 2.97%로 5개월 연속 하락했습니다.
금리 인하 기대감과 대출 규제 완화, 거래허가 해제 등 정책적 요인들이 시장 회복에 긍정적으로 작용하고 있죠.
하지만 토지거래허가구역 재지정 등 규제 강화가 나오면 거래가 급감하는 등,
정책 변화에 따라 시장 변동성이 커지는 모습도 보이고 있습니다.
---
## 2025년 시장 전망과 트렌드
전문가들은 올해도 수도권 중심의 가격 상승과 지방의 정체,
그리고 서울 내 초고가 아파트와 비강남권 간의 양극화가 더욱 심화될 것으로 내다보고 있습니다.
수도권 매매 및 전세가격은 1~2% 내외로 상승,
지방 매매가격은 보합, 전세가격은 2% 내외 상승이 예상돼요.
또 신축 선호, 노후주택 증가, 맞춤형 평면, 리모델링 등
다양한 트렌드가 시장을 이끌 것으로 보입니다.
---
# 마치며
지금까지 2025년 4월 부동산 시장의 주요 이슈를 정리해봤습니다.
서울과 수도권은 거래량과 가격이 반등하며 활기를 띄고 있지만,
지방은 여전히 침체 분위기가 이어지고 있네요.
정책과 금리, 공급 등 다양한 변수들이 시장에 영향을 주고 있는 만큼
앞으로도 꾸준히 시장 동향을 체크하는 것이 중요하겠습니다.
여러분의 부동산 고민과 궁금증, 언제든 댓글로 남겨주세요!
다음에도 더 알찬 소식으로 찾아오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
#부동산뉴스 #서울아파트 #전세시장 #청약 #부동산트렌드 #2025년부동산 #부동산전망
'부동산 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 2025년 5월 1일, 대한민국 부동산 시장, 어디로 가고 있나? (2) | 2025.05.01 |
---|---|
# 2025년 4월30일, 부동산 시장과 청약 소식 총정리 (3) | 2025.04.30 |
# 한양대학교 캠퍼스에 또 다시 발생한 싱크홀, 학생들 불안감 고조 (0) | 2025.04.25 |
# 속보 서울 마포구에서 또 다시 발생한 싱크홀, 노후 하수관이 문제였다 (0) | 2025.04.25 |
# 2025년 4월 부동산 시장 총정리: 세종시 무순위 청약 연장 소식까지 (2) | 2025.04.25 |